본문 바로가기

DESIGN/PHOTOSHOP

DESIGN[기초]|포토샵 기본 조작 방법

오늘은 정말 간단한 디자인 프로그램인 포토샵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우선, 포토샵의 경우 유료 프로그램으로 어도비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각 종류의 디자이너, 영상편집자, 프리랜서, 학생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고있으며, 회사에서 이용할 경우 회사 계정으로 이용이 가능하나 회사에 다니지 않는 프리랜서 혹은 취준생, 취미생활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포토샵 외에도 일러스트, 피그마 등 다양한 디자인 편집 툴이 존재하고있으나,

디자이너라면 어도비 포토샵은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것이 기본이다.

 

우선 포토샵을 설치해보자.

유료프로그램으로 아래 공식 어도비 사이트에서 결제 후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집에서 연습용으로 사용할 경우 정기 결제가 부담스럽다면 크랙을..크흠..)

어도비 프로그램은 아래 사이트에도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www.adobe.com/kr/products/photoshop.html


설치까지는 매우 쉬우니 다른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겠고 기본적인 포토샵 동작 방법을 설명하려고 한다.

우선 포토샵에 들어오면 기존에 컴퓨터로 작업한 작업물들이 아래 페이지에 나타나게 된다.

(나는 개인 계정으로는 포트폴리오만 작업하기에.. 개인 작업이라 별도로 가리지는 않았다.)

또한, 기본적으로 포토샵은 영문 버전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사람이 많이 있으니

처음부터 영문버전을 설치하는것을 추천한다.

 

이유가 무엇이냐면 이전에 포토샵이 이처럼 보편화되지 않았을때, 영문버전으로 포토샵을 접할 기회가 많아졌고

그로 인하여 강의를 하시는 분들 및 현 업종 관련자분들의 대다수 분들이 영문판을 사용하고있기에

설명 및 작동법을 영문으로만 다룰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떄문이다.

(실제로 많은 디자이너를 만나보았지만 5%를 제외한 사람들은 모두 영문판 포토샵을 사용했다.)

 

그럼 이제 대지를 만들어보자.

이렇게 왼쪽을 보면 다양한 메뉴 버튼이 존재하는데 create new를 눌러주어야 대지가 생성된다.

open의 경우 간단한 이미지 색감 및 누끼 작업이나 이전 파일들을 불러오는데 사용한다.

 

우리는 대지를 불러올거니 create new를 누르거나 단축키를 이용해보자!

윈도우 : 컨트롤+n / 맥 : command+n을 누르면 열린다.

(오픈은 단축키 O이다.)

그럼 이렇게 대지를 생성하는 창이 나오게 된다.

우선 우측 창부터 알아보자

우측의 preset details아래에는 파일명을 입력하면 되나, 저장시 변경이 가능하므로

굳이 나는 명칭을 설정해서 작업을 하지 않는다.

바로 width와 height로 넘어가주자.

width: 대지의 가로사이즈 / height: 대지의 세로사이즈 인다.

360x900의 사이즈를 만들고싶으면 width : 360 height: 900을 기입해주자.

또한, 옆에 artbords가 있는데 이것은 여러개의 대지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동일한 구성의 레이아웃을 여러개 만들어서 비교하거나, sns등 연속된 사진을 만들고 싶을때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용량을 사용하게되면 렉이 심하기 때문에.. 새 파일을 만드는것을 추천한다.

 

 

바로 아래쪽의 color mode이다.

rbg color / cmyk color 이 두가지 외에는 사용할일이 없기에 굳이 보지 않아도 된다.

웹(홈페이지, sns, mms 등)용 이미지를 작업할 경우 rgb color를,

인쇄(pop, x배너, 명함 등)용 이미지를 작업하는 경우 rgb color를 이용해주자.

옆쪽의 bit는 비트수이며 색상의 표현수로 나뉘어지는데 웹용은 그냥 8bit를 해주면 된다.

그 이상은 굳이 필요가 없으며, 용량만 커진다.

(이미지 업로드 시 용량 제안이 있는 업체들이 많기에 굳이 용량이 커서 좋을것은 없다.)

또한, 인쇄용(cmyk)의 경우 별도의 용량 제안이 없는 편이라 16bit로 작업해주는 편이다.

 

이제 create를 눌러주거나 그냥 엔터를 쳐주자.

그럼 대지가 만들어지고 이 대지에서 작업을 하면된다.

 

 

* cmyk와 rgb의 차이

간단하게 설명하면 색의 구성요소가 다르다.

r : Red / g : Green / b : Blue 로 3색을 이용해서 작업한다.

c : Cyen / m : Magenta / y : Yellow / k : blacK 로 4색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cmyk는 인쇄용으로 최적화되어있는 컬러로, 인쇄시 Rgb를 사용하는것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Rgb로 작업하다가 cmyk로 변형(commend+y)시 처음부터 cmyk로 작업하는것과 색감이 달라지니

처음부터 색선택을 잘 하는것을 추천드린다..